본문 바로가기
세목별 기고/상속세

상속세 절세 - 18. 배우자상속공제

by 내일회계법인 김정민회계사 2020. 1. 17.

18. 상속세 절세 Tip(배우자공제를 최대한 활용하자)

 

부친이 연로하여 돌아가신 경우 나이 드신 모친에게 재산을 상속하면 얼마 후 또 상속을 해야 하므로 모친에게는 재산을 상속하지 않고 자녀들에게만 상속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재산이 10억 원 이하이고 배우자가 있다면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으므로 모친에게 상속을 하지 않더라도 상속세 측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상속재산이 많아 상속세가 과세되는 경우에는 모친에게 상속을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 상속세 부담에 있어서 차이가 많이 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친의 상속재산이 35억 원이고 상속인으로 모친과 자녀 2명이 있다고 가정할 때

먼저 모친에게는 재산을 한 푼도 상속하지 않는다고 하면, 35억 원에서 일괄공제 5억 원, 배우자공제 5억 원을 차감하면 상속세 과세표준이 25억 원이 되며, 이에 대한 상속세는 8 4천만원이 계산됩니다.

그 반면, 모친에게 법정상속지분대로 상속을 하는 경우를 살펴보겠습니다.

법정상속지분은 모친이 3/7, 자녀가 각각 2/7씩이므로 모친이 15억 원, 자녀가 각각 10억 원씩 상속받게 됩니다. 이런 경우 35억 원에서 일괄공제 5억 원, 배우자공제 15억 원을 차감하면 상속세 과세표준은 15억원 이 되며, 이에 대한 상속세는 4 4천만원이 되므로 모친에게 법정지분대로 상속을 하게 되면 4억원이나 상속세가 절감되게 됩니다.

이와 같이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배우자에게 일정부분 재산을 상속하면 상속을 전혀 하지 않는 경우보다 상속세를 절세할 수 있습니다.

배우자상속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배우자 상속재산 분할기한(신고기한 으로부터 6)까지 상속재산을 배우자 명의로 분할(등기·등록 등을 요하는 경우에는 그 절차를 마쳐야 함)하여야 합니다.

만약 모친이 상속을 받고 10년 이내에 사망하여 다시 상속이 개시된 경우 단기재상속에 대한 세액공제를 적용하여 전에 상속세가 부과된 상속재산 중 재상속분에 대한 전의 상속세 상당액을 산출세액에서 공제해 줍니다.

따라서 피상속인의 배우자가 있는 경우에는 배우자상속공제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