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전증여재산3

상속세 절세 - 17. 가업상속공제(회사를 상속할 때) 17. 상속세 절세 Tip(회사를 상속할 때) 세법에서는 회사를 상속하는 경우 상속세 부담 때문에 회사 경영에 어려움을 초래하게 되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업상속 공제” 제도를 두고 있습니다. 가업상속공제는 피상속인이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한 중소·중견기업으로 가업상속공제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최대 500억까지 상속세를 과세하지 않게 하는 제도입니다. 가업상속공제란 중소기업 등의 원활한 가업승계를 지원하기 위하여 거주자인 피상속인이 생전에 10년 이상 계속하여 경영한 중소·중견기업의 가업 상속재산을 상속인에게 정상적으로 승계한 경우에 가업영위기간에 따라 최대 500억까지 상속세과세가액에서 공제할 수 있는 제도이다. 가업상속재산이란 개인기업은 상속재산 중 가업에 직접 사용되는 토지, 건축물, 기계.. 2020. 1. 16.
상속세 절세 - 12. 상속 전의 재산 처분에 대해서 12. 상속 전에 재산을 처분하면 갑작스럽게 병이 생기거나 건강상태가 악화되는 경우에 사망에 의한 상속시기까지 기다리지 않고, 미리 재산을 정리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 전 암 선고로 기대여명 1년 판정을 받은 사업가를 상담한 적이 있습니다. 그는 사업을 통해 불린 재산 중 가장 큰 부분인 토지를 팔아서 자녀들에게 나눠 주겠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할 경우 상속세가 많이 줄어들지 않을까 기대하는 눈치였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속세는 상속개시(사망) 당시 피상속인이 소유하고 있던 재산을 상속하는 경우에만 내는 것으로 알고 있으나,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상속개시 전에 재산을 처분하여 과세자료가 쉽게 드러나지 않는 현금으로 상속인에게 증여하거나 상속함으로써 상속세를 부당하게 감소.. 2020. 1. 6.
상속세절세 - 11. 사전에 증여를 해두자 11. 상속세 절세팁(사전에 증여를 해 두자) 개인의 재산을 사전에 배우자나 자녀에게 사전에 증여하면 상속재산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당연히 상속세도 줄어들게 됩니다. 허나 일정기간 내에 증여한 것은 상속재산에 포함되기 때문에 기간의 계산이 중요합니다. 상속세및증여세법에서는 수증자가 증여를 받은 경우 다음과 같은 금액을 과세가액에서 공제합니다. 배우자는 6억원, 직계존속 5천만원, 직계비속 5천만원, 기타 친족은 1천만원을 공제하는데, 이것은 이 금액을 증여할 때에는 증여세를 내지 않는다는 의미 입니다. 이 금액은 10년을 기준으로 누적한 금액을 말합니다. 그러나 상속세는 사망하기 전 10년 이내에 피상속인이 상속인에게 증여한 재산가액은 상속세 계산시 이를 합산하게 되어 있어서(만약 이 규정이 없.. 2020. 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