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절세4 상속세 절세 - 30. 사전증여를 활용하여 상속세를 절세하자 [부산회계사, 세무사 김정민] 30. 사전증여 활용전략 상속세의 최고 세율은 50%이므로 상속재산이 많은 경우에는 상속세 부담이 매우 커질 수 있는 부담이 생깁니다. 본인의 건강에 매우 자신이 있고 문제가 없다고 판단해서 죽음과는 거리가 있다고 생각하더라도 그 누구든 시간의 흐름과 죽음을 피할 수는 없는 것이므로 오히려 건강하고 분별력을 유지하고 있을 때 상속을 대비해 나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지 죽음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준비하는 것도 있지만 사전에 계획을 세워 사전증여를 활용하게 되면 자녀에게 승계할 수 있는 재산을 보다 많이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사전증여에 대한 계획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보는 것입니다. 즉, 절세효과가 크게 나타나게 됩니다. 사전상속과 관련된 규정을 살펴보면 피상속인이 일정기간 이내에 증여한 재산은 상속세.. 2020. 2. 17. 상속세 절세 - 29. 배우자공제를 활용하여 상속세를 절세하자 [부산회계사, 세무사 김정민] 29. 배우자공제의 활용전략 예전에 포스팅했던 배우자 공제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이제부터는 실제 적용 가능한 상세한 내용을 다루기로 했으니, 이해가 되지않거나 전반적인 지식이 부족하신 분들은 앞서 포스팅 했던 내용들을 다시 한번 읽어보시고 돌아오시기 바랍니다. 상속세를 계산할 때 상속인으로 배우자가 있고 그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재산이 있는 경우 배우자 상속공제를 다음과 같이 적용합니다. ----------------------------------------------------------------------------------------------------------------------------------- ① 배우자가 실제 상속받은 금액 ② (상속재산가액 Ⅹ 배우자의 .. 2020. 2. 14. 상속세 절세 - 28. 한정승인이란? [ 부산회계사, 세무사 김정민] 28. 한정승인 앞서 포스팅한 내용대로 상속재산과 채무를 빨리 확인하기 위해서 안심상속 원스탑 서비스나 조상 땅 찾기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데,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상속세 신고를 제대로 하여 불이익을 당하지 않기 위한 것이고, 또 하나 중요한 이유는 상속부채가 상속재산을 초과하여 상속인이 불이익을 당하게 될 것이니 부채가 더 많이 승계되는 상황을 회피하기 위한 판단을 빠르게 내리기 위함입니다. 그런데, 피상속인의 사망으로 상속이 개시되었는데 피상속인의 부동산, 예금 등 상속재산과 채무나 의무가 어느쪽이 더 큰지 정확하게 판단이 서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됩니다. 판단이 애매하다는 의미 입니다. 금융재산 등을 확인한 결과 금융재산이 더 많은 것이 확인되었지만 피상속인이 사업을 해 왔거나 개인적인 사채를 .. 2020. 2. 12. 상속세 절세 - 16. 건물을 상속시의 절세 16. 상속세 절세 Tip(건물을 상속할 때) 임대 중에 있는 부동산을 상속받는 경우 상속인은 임대계약이 만료되면 보증금을 반환해야 할 의무가 있으므로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서는 이를 피상속인의 부채로 보아 상속세를 계산할 때 공제를 하게 됩니다. 따라서 임대차계약을 체결할 때 월세 비중을 줄이고 보증금을 많이 받는다면 공제 받을 수 있는 채무액이 많아지므로 상속세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가 20억 상당의 건물을 임대하면서 보증금 10억에 월세 5백만 원을 받았다면 상속이 개시되었을 때 10억 원을 공제 받을 수 있으나, 보증금 5억에 월세 10백만원을 받았다면 5억 원 밖에 공제받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한편 상속개시 1~2년 전에 체결한 임대차계약 내용 중 임대보증금의 합계액이 1년 이.. 2020. 1. 1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