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속세신고대행5 상속세 절세 - 23. 상속plan이란? [부산회계사, 세무사 박지훈] 23. 상속 Plan 상속세는 사망을 한 경우 상속받은 재산에 대하여 내는 세금으로, 언제 사망할 지 그리고 사망할 당시의 재산이 얼마나 될지 등을 알 수 없기 때문에 세금계획(Tax Planning)을 세우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아무런 대비도 하지 않고 있는 것은 상당히 어리석은 일이 됩니다. 주변의 사례를 보면 갑자기 상속이 개시되어 전혀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안 내도 될 세금을 내게 되는 상황이 많이 발생하곤 합니다. 사실상 상속세 절세 계획을 상속인인 자녀들이 세우기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입니다. 부모가 생존해 계시는데 사망을 전제로 하여 계획을 세운다는 것이 불효를 저지르는 것으로 생각되고, 재산의 분배 처분 등에 대한 이야기를 꺼내는 것이 보기에는 상속세를 대비하기 위함이라고 하더.. 2020. 1. 24. 상속세 절세 - 21. 상속세 신고의 필요성 21. 상속세 신고 꼭 해야 할까 상속으로 인하여 재산을 취득한 상속인은 상속개시일(사망일)의 말일로부터 6개월 이내에 상속세를 신고하여야 합니다. 신고 기한 이내에 자진해서 신고한 경우에는 세금의 5%를 공제해 주는데, 통상 상속세는 그 부담액이 매우 큰 편이므로 5%의 세액공제가 매우 클 수 있습니다. 만약 상속세를 신고하여야 할 자가 신고를 하지 않으면 내야 할 세금의 20%(또는 40%)신고하여야 할 금액에 미달하게 신고한 경우에는 내야 할 세금의 10%(또는 40%)에 상당하는 가산세를 부담하게 됩니다(신고와 관련된 것만을 말합니다). 그리고 납부할 세금을 납부하지 아니하였거나 납부하여야 할 세금에 미달하게 납부한 때에는 납부하지 아니한 기간에 대한 가산세를 추가로 부담하게 됩니다. 미납부 기간.. 2020. 1. 22. 상속세 절세 - 20. 세대를 뛰어 넘는 상속의 경우(세대생략상속) 20. 세대를 뛰어 넘는 상속의 경우 재산을 상속해 주고자 할 때 자녀가 나이가 많거나 똑똑하지 못하여 재산을 지킬 능력이 없으면 손자가 상속을 받도록 유언을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더라도 최근에는 조부모의 재산을 손자 손녀에게 직접 증여하거나 상속하는 사례가 많이 늘고 있습니다. 상속세는 이와 같이 세대를 건너뛰어 손자에게 상속을 하게 되면 자녀에게 상속할 때보다 30%(상속인이 미성년자이며 상속재산가액이 20억원을 초과할 경우 40%)를 할증하여 상속세를 부과하도록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를 간단히 세대생략 할증과세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정상적인 상속을 하게 되면 자녀에게 상속을 할 때 상속세가 한번 부과되고 자녀가 손자에게 상속할 때 또 다시 상속세가 부과되지만, 할아버지가 손.. 2020. 1. 21. 상속세 절세 - 19. 동거주택상속공제 19. 상속세 절세 Tip(10년 이상 동거한 1세대 1주택) 피상속인과 상속인(직계비속에 한정)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상속인이 미성년자인 기간은 제외합니다) 계속하여 하나의 주택에서 동거하였고, 그 주택이 1세대 1주택에 해당되면 동거주택 상속공제(5억원 한도)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동거주택 상속공제를 적용하기 위한 요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피상속인이 거주자일 것 나. 피상속인과 상속인(직계비속에 한정함)이 상속개시일부터 소급하여 10년 이상(상속인이 미성년자인 기간은 제외) 계속하며 하나의 주택에서 동거할 것. 다. 피상속인과 상속인이 10년 이상 계속하여 소득세법 제89조 제1항 제3호에 따른 1세대 1주택(고가주택을 포함)에 해당할 것. 이 경우 도중에 무주택인 기간이 있는.. 2020. 1. 20. 상속세 절세 - 18. 배우자상속공제 18. 상속세 절세 Tip(배우자공제를 최대한 활용하자) 부친이 연로하여 돌아가신 경우 나이 드신 모친에게 재산을 상속하면 얼마 후 또 상속을 해야 하므로 모친에게는 재산을 상속하지 않고 자녀들에게만 상속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상속재산이 10억 원 이하이고 배우자가 있다면 상속세가 과세되지 않으므로 모친에게 상속을 하지 않더라도 상속세 측면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으나, 상속재산이 많아 상속세가 과세되는 경우에는 모친에게 상속을 하는 경우와 하지 않는 경우 상속세 부담에 있어서 차이가 많이 나게 됩니다. 예를 들어 부친의 상속재산이 35억 원이고 상속인으로 모친과 자녀 2명이 있다고 가정할 때 먼저 모친에게는 재산을 한 푼도 상속하지 않는다고 하면, 35억 원에서 일괄공제 5억 원, 배우자공제 5억 원을 .. 2020. 1. 17. 이전 1 다음